이 글은 클레르 옵스퀴르 33원정대 – 베르소 연소 빌드 (무기 코르페소, 스탯, 스킬) 세팅법 공략에 대한 내용입니다.
베르소는 2장에서 합류하게 되는 동료로, 적에게 공격당하지 않고 완벽 랭크를 올릴수록 더욱 강해지는 캐릭터 입니다.
베르소 빌드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그중에서 무기 코르페소를 활용해 빠른 속도로 연소 효과 중첩 및 유지력으로 승부를 보는 빌드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클레르 옵스퀴르 33원정대 – 베르소 연소 빌드 세팅법
베르소 무기 : 코르페소

연소 빌드에서 무기는 코르페소 를 사용합니다.
코르페소 획득 방법
- 코르페소 (23레벨)은 어둠의 해안에서 누아르를 잡으면 드랍합니다.
코르페소의 기본 능력치
- 4레벨 – 기본 공격이 랭크당 연소 중첩을 2 부여합니다.
- 10레벨 – 랭크 상승 시 AP+1
- 20레벨 – 랭크당 연소 피해가 50% 씩, 랭크 S에 최대 300%까지 증가합니다.
코르페소는 랭크당 연소 중첩을 2 부여하기 때문에, 랭크 S에서는 기본 공격 1회에 연소 중첩을 10 부여합니다.
또한 랭크당 연소 피해가 50%씩 증가하여 랭크 S에서는 최대 300%, 즉 연소 피해가 4배로 증가하게 됩니다.
그래서 베르소의 속도를 높이고, 턴당 여러번 기본 공격을 할 수 있는 콤보 공격 같은 픽토스를 장착하면, 순식간에 수백개의 연소 중첩을 만들수도 있습니다.
베르소 스탯

- 활력 99
- 민첩 99
- 나머지는 행운 99
연소 빌드는 여러번 공격할수록 연소 중첩을 최대한 빠르게 쌓을 수 있으므로, 속도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활력, 민첩, 행운을 최대로 올려주면 됩니다.
베르소 기술 추천 (연소 빌드)

연소 빌드에서는 거의 기본 공격 위주로 공격하기 때문에, 기술은 크게 중요하지 않은 편입니다.
기술은 아래 2가지를 필수로 넣고, 나머지는 자유롭게 할당해도 됩니다.
- 유령 별 (모든 적에게 극한의 빛 피해. 5회 적중. 파괴 가능. S랭크에서 AP5 소모)
- 후속 공격 (보통 단일 대상 빛 피해. 1회 적중. 이번 턴의 자유 조준 사격 횟수당 최대 10회까지 주는 피해가 증가. S랭크에서 AP2 소모)
베르소 픽토스 세팅
연소 빌드에서 픽토스는 속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장착해줍니다.
속도를 극대화하려면, 속도를 가장 높여주는 픽토스 3개를 장착하고, 좀더 방어적으로 하려면 생명력, 방어력과 속도를 동시에 높여주는 픽토스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아래 3개를 장착했습니다.
- 활력의 공격 1
- 콤보 공격 2
- 두 번째 기회
베르소 연소 빌드 루미나 세팅

연소 빌드에서 추천하는 루미나는 아래와 같습니다.
- 가속 사격 (자유 조준 사격시 20% 확률로 속공 효과 부여)
- 거두절미 (전투 시작시 보호막+3. 최대 생명력 절반으로 감소)
- 관통 사격 (자유 조준 피해 25% 증가. 자유 조준 사격이 보호막 무시)
- 그려진 힘 (피해가 9999 초과 가능)
- 껍질 시 강화 (껍질 효과 부여 시 강화 효과 부여)
- 노출의 공격 (기본 공격이 1턴 동안 무방비 효과 부여)
- 다재다능 (자유 조준 적중 후 1턴 동안 기본 공격의 피해가 50% 증가)
- 두 번째 기회 (생명력을 100% 보유한 채 부활. 전투당 1회)
- 룰렛 (공격이 적중할 때마다 50% 확률로 피해의 50% 또는 200%)
- 부정행위 (언제나 2번 연속으로 플레이)
- 상급 강화 (강화 피해 증가 +15%)
- 상급 껍질 (껍질 피해 감소 +10%)
- 생명력 흡수 공격 (기본 공격으로 생명력을 15% 회복)
- 선제 타격 (가장 먼저 플레이)
- 속공 시 껍질 (속공 효과 부여 시 껍질 효과 부여)
- 연소 친화 (연소 상태인 대상에 대한 피해가 25% 증가)
- 이중 연소 ( 연소 효과가 2배로 중첩)
- 장기 연소 (연소 지속시간이 2 증가)
- 증강 공격 (기본 공격 피해가 50% 증가)
- 증강 조준 (자유 조준 피해가 50% 증가)
- 충전 공격 (기본 공격 시 그래디언트 충전 +15%)
- 치명타 연소 (연소 상태인 적의 치명타 확률이 25% 증가)
- 콤보 공격 1 (기본 공격이 추가로 1회 적중)
- 콤보 공격 2 (기본 공격이 추가로 1회 적중)
- 콤보 공격 3 (기본 공격이 추가로 1회 적중)
- 활력의 공격 1 (기본 공격시 AP +1)
위 조합은 예시이기 때문에, 운영 방법이나, 파티원이 누구인가에 따라 더 효율적인 조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조합에 따라서는 자유 조준의 데미지를 늘려주는 루미나를 활성화하거나, 그래디언트 충전을 늘려주는 루미나를 활성화할 수도 있습니다.
픽토스 – 이중 연소 획득 방법

이중 연소의 설명을 보면 ‘연소 효과 중첩 부여 시, 두 번째 효과를 부여한다고 되어 있어, 두 번째 효과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연소 효과 중첩을 2배로 늘려준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연소 빌드에서 아주 유용하므로 꼭 장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픽토스 – 이중 연소 (레벨11)은 비사주 지역의 분노의 골짜기에서 거대한 가면 우측 동굴 내에서 획득할 수 있습니다.
픽토스 – 이중 연소 (레벨20)은 신성한 강 안으로 들어가 우측 안쪽에 있는 제스트랄 상인에게 승리후, 구입할 수 있습니다.
베르소 연소 빌드 운영 방법
아마 베르소의 속도가 높고, 선제 타격으로 인해 1턴이 될 것입니다.
베르소의 턴이 시작되면, AP를 모두 소모해 자유조준을 해줍니다.
그러면 가속 사격, 속공 시 껍질, 겁질 시 강화 루미나로 인해 확률적으로 속공, 껍질, 강화 효과를 받게 될 것입니다.
껍질 효과를 받으면 피해를 20%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강화 효과를 받으면 적에게 주는 피해를 25%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자유 조준으로 AP를 모두 소모하고 나면, 기본 공격을 하여 AP를 회복해 주고, 다시 자유조준을 하여 완벽 랭크 S 까지 올려 주면 됩니다.
무기 – 코르페소의 특성으로 인해, 적의 턴이 오기도 전에, 연소 효과를 수백개 중첩시킬 수 있으며, 생명력 흡수 공격으로 인해, 적에게 공격받아도 금방 체력을 가득 채우게 될 것입니다.
또한 콤보 공격과 활력의 공격으로 인해 기본 공격을 할때마다 ap가 대부분 회복될 것입니다.
완벽 랭크가 S가 되고 나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공격해주면 됩니다.
- 자유조준으로 AP를 모두 소모한 후, 기본 공격
- AP를 2 남긴 후, 후속 공격 기술을 사용
- AP를 모아서 유령 별로 전체 공격
또한 충전 공격으로 인해, 기본 공격을 할때마다 그래디언트가 충전되어, 금방 그래디언트를 3까지 모을 수 있습니다.
이땐 그래디언트 공격을 해주거나, 모노코의 그래디언트 공격인 ‘중단점’을 사용해 소모해주면 좋습니다.
추천 동료 및 시너지
베르소의 연소 빌드와 시너지가 되는 동료를 보면, 우선 마엘이 있습니다.
마엘의 ‘소각’ 스킬은 상대가 2턴동안 화염에 취약해지게 만들어, 화염 속성 무기의 기본 공격이나, 중첩된 연소 효과의 피해를 크게 증가시켜줍니다.
또한 마엘의 기술인 ‘불타는 캔버스’는 대상에게 걸린 연소 효과 하나당 주는 피해가 증가하기 때문에, 베르소의 연소 빌드와 시너지가 있습니다.
또한 모노코와도 시너지가 좋습니다. 모노코의 그래디언트 기술인 ‘중단점’은 적을 확정적으로 파괴하고, 기절시킬 수 있어서, 베르소의 랭크S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충전 공격은 기본 공격 시 그래디언트 충천 15%가 되기 때문에, 베르소가 기본 공격을 여러번 하면 순식간에 그래디언트를 충전해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모노코의 그래디언트 기술인 ‘중단점’을 더욱 자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엘과도 시너지가 매우 좋습니다. 시엘의 무기 ‘리테손’을 장착하면, 아군에게 상급 속공, 적군에세 상급 감속 효과를 부여할 수 있어, 베르소가 더욱 자주 공격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그리고 시엘의 ‘준비완료’ 기술은 아군 전체에게 껍질, 강화, 속공 효과를 부여하기 때문에, 베르소가 가속 사격, 속공 시 껍질, 껍질 시 강화 루미나를 제외해도 되므로, 루미나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연소 빌드의 단점
아무래도 코르페소는 원소가 화염 속성이기 때문에 화염에 저항이 있는 적들을 상대할때는 고전할 수 있습니다.
그때는 일시적으로 다른 무기를 착용하거나, 기본 공격보다는 기술을 사용하여 적을 처치하는 것이좋습니다.
그럼 여기까지 클레르 옵스퀴르 33원정대 – 베르소 연소 빌드 세팅법에 대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